2016년 K리그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6년 K리그2는 11개 팀이 참가하여 진행되었으며, 1위 팀은 K리그 클래식으로 자동 승격되고, 2위부터 4위까지는 플레이오프를 거쳐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승격 여부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안산 무궁화가 정규 리그에서 우승했으나, 구단 사정으로 승격 자격이 박탈되어 대구 FC가 K리그 클래식으로 자동 승격되었다. 강원 FC는 플레이오프를 거쳐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되었고, 김동찬(대전 시티즌)이 득점왕과 MVP를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리그 챌린지 시즌 - 2013년 K리그2
2013년 K리그2는 2013년 3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상주 상무가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강원 FC를 꺾고 K리그 클래식으로 승격했고, 이근호는 득점왕과 MVP를, 염기훈은 도움상을 수상했다. - K리그 챌린지 시즌 - 2014년 K리그2
2014년 K리그2는 10개 팀이 참가하여 대전 시티즌의 우승과 광주 FC의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한 승격, 그리고 아드리아누의 득점왕과 최진호의 도움왕 수상 등이 주요 특징이다. - 2016 축구 리그 - J2리그 2016
J2리그 2016은 메이지 야스다 생명이 타이틀 스폰서를 맡은 일본 프로 축구 2부 리그의 18번째 시즌으로, 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우승, 시미즈 에스펄스 2위, 세레소 오사카가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J1리그로 승격했고, 기라반츠 기타큐슈는 최하위로 J3리그 강등, 츠바이겐 가나자와는 J2/J3리그 강등 플레이오프를 통해 J2리그에 잔류했다. - 2016 축구 리그 - 2016년 K3리그
2016년 K3리그는 20개 팀이 참가하여 포천 시민축구단이 우승을 차지한 반면, 일부 팀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거나 K3리그 베이직으로 강등되었다. - K리그 시즌 - K리그2
K리그2는 2012년 K리그 분할 시스템 도입으로 출범한 대한민국의 2부 프로 축구 리그로, 초기에는 K리그 챌린지로 불렸으나 2018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K리그1 승격팀을 결정하고 단일 리그 방식을 유지하며, 2025년부터 외국인 선수 등록 규정 변경 및 홈그로운 선수, U-22 출전 의무 규정이 도입될 예정이다. - K리그 시즌 - 1985년 K리그
1985년 K리그는 8개 팀이 참가하여 럭키금성 황소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한문배가 MVP, 삐야퐁 푸온이 득점왕과 도움왕을, 이흥실이 신인상을, 박세학이 감독상을, 김현태가 최우수 골키퍼상을 수상했다.
2016년 K리그2 | |
---|---|
기본 정보 | |
대회 | 현대오일뱅크 K리그 챌린지 |
시즌 | 2016 |
시즌 결과 | |
우승팀 | 안산 무궁화 (1번째 우승) |
승격팀 | 대구 FC |
개인 수상 | |
최우수 선수 | 김동찬 |
득점왕 | 김동찬 (20골) |
경기 통계 | |
총 경기 수 | 220 |
총 득점 수 | 528 |
최고 승리 (홈) | |
최고 승리 (원정) | |
최고 득점 경기 | |
관중 통계 | |
최고 관중 | 23,015명 |
최저 관중 | 124명 |
평균 관중 | 1,506명 |
시즌 정보 | |
이전 시즌 | 2015 |
다음 시즌 | 2017 |
2. 운영 방식
K리그 클래식으로 1위 팀은 자동 승격되며, 2위 팀부터 4위 팀까지는 플레이오프를 실시한다. 3위 팀과 4위 팀 간의 단판 승부에서 이긴 팀이 2위 팀과 단판 승부를 하며, 여기에서 이긴 팀이[3] K리그 클래식 11위 팀과 11월 30일과 12월 4일에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를 한다. 단, 승강 플레이오프 출전 팀을 가리는 2위부터 4위 간에 펼쳐지는 플레이오프는 전후반 90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정규 리그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한 팀의 승리로 처리된다.
춘천종합운동장
3. 참가 구단
원주종합운동장
속초종합운동장
알펜시아 스키점프 경기장22,333
20,000
20,000
25,000
26,000경남 FC 9위 2015 2 경남 창원축구센터 15,116 고양 자이크로 FC 8위 2013 4 고양 고양종합운동장 41,311 대구 FC 2위 2014 3 대구 대구스타디움 66,422 대전 시티즌 K리그 클래식 12위 2014 2 대전 대전월드컵경기장 40,535 부산 아이파크 K리그 클래식 11위 2016 1 부산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11,808 부천 FC 1995 5위 2013 4 부천 부천종합운동장 35,456 서울 이랜드 FC 4위 2015 2 서울 서울올림픽주경기장 5,216 안산 무궁화 10위 2013 4 안산 안산와~스타디움 35,000 FC 안양 6위 2013 4 안양 안양종합운동장 17,143 충주 험멜 11위 2013 4 충주 충주공설운동장 15,000